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[스페셜 리포트] 포스코·KT·한전 ‘빅3’를 모셔라…사활 건 유치전 [중앙일보] 기사 나도 한마디 (0) <P class="inputTime">2010.03.31 02:45 입력 / 2010.03.31 03:31 수정 </P> 은행·보험·증권업계 ?퇴직연금 경쟁? <IMG class="blb" src="http://news.joins.com/component/htmlphoto_mmdata/201003/htm_2010033103295550005010-001.JPG" width="540" border="0"> 한국수력원자력의 퇴직연금 사업자 선정을 앞두고 30개 금융회사가 한수원 직원들의 표를 얻기 위해 홍보에 나섰다. 지난 21일 전남 영광원자력발전소 인근 길거리에서 현수막을 들고 있는 신한금융투자 직원들. [신한금융투자 제공] 관련핫이슈 스페셜 리포트“5주 연속 주말도 없이 눈·비 맞으면서 발전소 앞을 지킨 효과죠.”<BR><BR>신한금융투자 김대홍 퇴직연금지원부장은 싱글벙글이었다. 24일 한국수력원자력이 선정한 퇴직연금사업자 10곳(보험 3, 은행 3, 증권 4) 안에 들었기 때문이다.<BR><BR>30개 금융회사가 겨룬 사업자 선정 경쟁은 불꽃이 튀었다. 한수원의 직원 선호도 조사에서 표를 따내기 위해 각 금융사가 울진·영광·월성·고리의 원자력발전소 앞으로 몰려왔다. 투표 기간이었던 20~23일엔 20여 개 금융회사가 플래카드와 피켓을 들고 나섰다. 선거 못지않은 열기였다.<BR><BR>직원 7800명, 퇴직금 규모 4200억원의 한수원은 올 상반기 퇴직연금 시장의 최고 ‘대어’였다. 이를 잡기 위해 고금리 경쟁도 치열했다. 연 7.95%를 제시한 신한금융투자를 비롯해 증권사가 7%대를 제시하자, 보험과 은행도 예금금리보다 2%포인트 이상 높은 6% 중반대를 내놨다. 사업자로 뽑히진 않았지만 무려 8.8%를 내건 증권사도 있었다.<BR><BR>이것도 그리 심한 경우는 아니다. 올해 퇴직연금 시장의 예고편에 불과하다. 올 하반기엔 퇴직금 규모만 1조원이 넘는 대기업들이 줄이어 퇴직연금으로 전환할 전망이다. 이른바 빅3(KT·포스코·한국전력)의 등장이다. 세 기업만 합쳐도 예상되는 퇴직연금 규모가 4조~5조원에 달할 전망이다. 금융사들은 이들 대기업이 8~9월쯤이면 사업자 선정 절차에 들어갈 것으로 보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. 한 보험회사 관계자는 “지금까지 가만히 있던 대기업들로부터 최근 컨설팅 요청이 들어오는 등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”며 “올해는 퇴직연금 시장의 ‘진검 승부’가 벌어질 것”이라고 말했다.<BR><BR>현대·기아차와 현대중공업도 올 하반기에 퇴직연금으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이다. 현대차와 기아차가 쌓아둔 퇴직금만 합쳐도 3조원에 육박한다. 다만 그룹 계열 증권사(HMC·하이투자증권)가 있는 터라 다른 금융사의 진입이 쉽지 않을 수 있다.<BR><BR>대기업·공기업은 퇴직금 규모도 크지만, 상징성이 있어 금융사들엔 놓칠 수 없는 시장이다. 이들이 한수원 사업자 선정에 목을 맨 것도 이 때문이다. 연말에 나올 큰 기업을 잡기 위해선 미리 시장을 선점해둘 필요도 있다. 퇴직연금 사업자를 뽑을 땐 과거 유치 실적이 점수에 반영되기 때문이다.<BR><BR>한번 사업자로 뽑힌 경우, 장기간 계약을 맺을 수 있다고 보는 것도 금융회사들이 초기 비용을 감수하는 이유다. 우리은행 퇴직연금부 구재설 부부장은 “처음 사업자로 선정되면 기득권을 갖는다고 보기 때문에 각 금융사가 금리를 높게 제시하고 있다”고 말했다.<BR><BR>퇴직연금 시장은 2005년 말 제도가 도입될 때부터 경쟁이 뜨거웠다. 하지만 올해 말이 유독 관심을 끄는 건 제도가 바뀌기 때문이다. 그동안 손비처리가 됐던 퇴직보험·신탁은 내년부터 신규 취급이 중단된다. 따라서 퇴직보험·신탁을 들었던 기업들이 연말부터는 퇴직연금으로 대거 갈아탈 수밖에 없다.<BR><BR> <IMG class="blb" src="http://news.joins.com/component/htmlphoto_mmdata/201003/htm_2010033103295550005010-002.GIF" width="300" border="0"> 퇴직연금 시장의 경쟁이 거세지면서 은행·보험·증권 사이에 물고 물리는 공방이 이어진다. 50% 가까운 점유율을 차지하는 은행에 대해 보험사는 ‘꺾기’ 의혹을 제기한다. 은행이 중소기업 대출을 미끼로 퇴직연금 사업자 자리를 따내고 있다는 주장이다.<BR><BR>이에 비해 은행은 보험사와 일부 증권사에 대한 대기업의 계열사 밀어주기를 문제 삼는다. 지난해 말 삼성전자의 퇴직연금 사업자로 삼성생명이 단독 선정되면서 이런 비판은 더 커졌다. 삼성전자의 퇴직금 규모는 1조원이 넘는다. 또 보험사와 은행은 증권사들이 무리하게 높은 금리를 제시해 출혈경쟁을 조장하고 있다는 불만을 토로한다. 가장 늦게 시장에 뛰어든 증권사들은 낮은 인지도와 부족한 영업망을 고금리란 무기로 만회하고 있는 상황이다.<BR><BR>분위기가 혼탁해지자 금융위원회는 이달부터 ‘퇴직연금 공정경쟁 태스크포스(TF)’를 구성해 대책을 마련 중이다. 금융당국은 실제 운용수익률이 연 4~5%대인 상황에서 기업에 7~8%의 고금리를 보장하는 역마진은 문제라고 본다. 길게 보면 금융회사의 재무 건전성을 해치거나 퇴직연금이 아닌 다른 소비자까지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. 금융위 관계자는 “과당경쟁을 막는 제도적 방안을 4월 중에 발표하는 한편, 필요한 경우엔 금감원 검사도 할 것”이라고 말했다.<BR><BR>익명을 원한 금융회사 관계자는 “일단 사업자가 되면 계속 유지될 것이란 생각은 착각”이라고도 말했다. 지난해 한 공기업은 퇴직연금 사업자를 선정한 지 1년 만에 싹 바꿔버리기도 했다. 1년 만에 더 높은 금리를 주는 곳으로 갈아탄 것이다. ‘일단 잡고 보자’ 식의 출혈경쟁은 시장 분위기만 흩트릴 뿐이라는 지적이다. <BR><BR>한애란 기자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